유튜브 또한 널리 알려진 채널이지요.
직접 채널 운영을 하고 있지 않으시더라도
유튜브를 이용하고 계신 분이
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.
3~4년 전만 하더라도
유튜브는 유명한 유튜버 몇 명이
자신의 방송 영상을 올려놓는 것이
고작이었습니다.
하지만 이제는 아닙니다.
70대 박막례 할머니부터
10대 초등학생들까지
남녀노소를 불문하고
유튜브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.
실제로 제가 사람들을 만나며
제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
‘콘텐츠’라는 이야기를 하면 고개를 갸우뚱하지만
‘유튜브’라고 이야기를 하면
단박에 고개를 끄덕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
어떻게 보면 유튜브(영상)이
콘텐츠의 대명사가 된 것이지요.
아무래도 텍스트로만 자신의 생각을
전달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
인스타그램 같은 SNS 역시
긴 이야기를 전달하기 어렵다 보니
개인 브랜딩 혹은 사업 브랜딩을 원하시는 분들은
유튜브로 자연스럽게 시선이 가실 것입니다.
현재 채널을 운영하고 계실 수도 있고요.
그렇지만 유튜브를 한다고 생각하면
인스타그램 만큼이나, 아니 그 이상으로
부담감과 거부감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.
실제로 몇 년 간 콘텐츠를 만들고 싶어하는 분들을
만나보면서 다른 채널보다 특히 ‘유튜브’에
거부감을 갖고 있는 분들이 더 많았습니다.
제가 생각하기에 정말 좋은 콘텐츠가 나올 것 같아서
유튜브를 꼭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분들도
‘유튜브 한 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.’라는 말에
고개를 내저으시더라고요.
제 나름대로 생각해본 결과
다음 세 가지 생각이
가장 큰 장벽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.
1. 유튜브를 하기 위해서는
얼굴(혹은 신상)을 드러내야 한다.
2. 유튜브를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고
영상 편집을 잘 할 줄 알아야 한다.
3. 유튜브는 특별한 재능을 가졌거나
특이한 점이 있는 사람이 하는 것이다.
먼저 이야기드리고 싶은 것은
세 가지 다 ‘그럴 수도 있지만
아닐 수도 있다’라는 것입니다.
하나씩 설명을 드려볼게요.